본문 바로가기

서평

서평 : 그릿 뜻은? 앤절라 더크워스 지음

반응형

 서평 : 앤절라 더크워스의 그릿 GRIT - 뜻은?


 지금까지 읽은 책들 중에 양서들을 재독 하기 위해 순서를 정하면서 서평도 남기고 있는데요. 먼저 첫 번째로 소개드린 책은 고영성 작가님의 '어떻게 읽을 것인가'였습니다. 두 번째 책은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입니다.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의 서평은 아래에 링크로 남겨두겠습니다.

 

https://survival-reading.tistory.com/20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헨리 뢰디거 외 지음 와이즈베리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헨리 뢰디거 외 지음 와이즈베리 지난 서평에서 고영성 작가님의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올렸었습니다.. 이후에 어떤 책의 서평을 작성할까 하다가 읽기 좋은 그리고 효율적인 순서대로..

survival-reading.tistory.com

 

읽는 방식에 대해 알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면 이제 중요한 것은 지속력입니다.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재능 만능주의입니다.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재능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아니지만 재능보다 중요한 것을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작심삼일의 노력이 아닌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야 실력이 붙고 인생이 바뀝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지속력을 다루는 명저인 앤절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에 대해 서평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책의 목표 : 그릿력이 높은 사람들의 믿음, 태도, 습관 등에서 자신이 따를 만한 것은 무엇인가?

 

 

 먼저, 그릿(Grit)의 뜻이 궁금하실 텐데요. 우리나라 말로 표현하자면 열정+투지+끈기+인내를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앤절라 더크워스는 과거에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한 적이 있는데 이때 성적이 좋은 학생과 나쁜 학생의 차이점이 단순히 IQ에 있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됩니다. 어쩌면 재능이나 성적보다 인생의 성공에서 훨씬 중요한 요인 일지도 모르는 그릿을 발견한 것입니다.

 

 

 

 

자 이제 재능이 무엇인지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재능이란 노력을 기울일 때 기술이 향상되는 속도를 의미하는데요. 외부요인 (훌룽한 코치나 스승, 행운 등)을 제외하고 개인의 역량만 높고 보았을 때 노력이 재능보다 두배 이상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두 등식은 앤절라 더크워스가 만들 등식입니다.

1) 재능 x 노력 = 기술

2) 기술 x 노력 = 성취

외부요인을 제외하고 개인의 능력만을 고려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동일한 환경에서 성취는 재능과 노력 두 가지에 의해 좌우됩니다. 기술이 향상되는 속도인 재능도 물론 중요하지만 올바른 노력인 의식적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배우는 속도도 꾸준히 향상된다고 봅니다. 스노볼을 굴리는 것과 같은 속도로 말입니다.

 

 

 

그리고 재능보다 노력이 더 중요한 이유를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만약 재능이 10점 만점에 10점인 사람이 있다고 했을 때 이 사람이 노력하지 않는다면 기술이 향상될 수 있을까요? 성취는 있을 수 있을까요? 그렇기에 아래의 등식이 성립됩니다.

 

재능 x 0(노력안함) = (발휘되지 않은) 잠재력

 

 


 지금까지 재능과 노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그릿의 본질이 빠졌네요. 바로 끈기 즉, 지속력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뒷심이라는 단어가 있지요? 어떤 일이든 포기하지 않고 결과를 볼 때까지 밀어붙이는 일입니다. 사람들이 어떤 일을 포기할 때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사람 사는 게 다 거기서 거기라고 말씀드렸지요? 아래와 같은 생각들을 누구나 합니다.

"지루해"

"노력할 가치가 없어."

"이것은 내게 중요한 일이 아니야"

"나는 못하겠으니 포기하는게 좋겠어"

그릿 있는 사람들도 위의 생각들을 하고 목표를 포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릿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사명 즉, 상위 목표에 가까운 것일수록 더욱 고집스럽게 끝을 보려 합니다. 그들은 나침반을 바꾸지 않습니다. (원칙, 방향성) 그들은 모든 자기 행동의 지침이 되는 단 하나의 중요한 목표에 대해서만큼은 위에 열거된 발언을 입 밖에도 꺼내지 않습니다.

 

그릿력이 높은 사람들은 네 가지 심리적 자산이 있습니다. 관심, 연습, 목적, 희망인데요. 그들도 자신의 일중에서 재미가 덜하고 전혀 즐 거지 않고 참고하는 일들도 하지만 일에서 관심을 갖고 의미를 발견하며 일에 매력을 느끼고 아이와 같은 호기심을 내비칩니다. 그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금보다 나아질 거야!라는 말과 생각을 가집니다. 끊임없이 지속력 있게 의식적 노력을 합니다. 그들은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일이 나에게도 타인에게도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희망을 가집니다. 희망은 모든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시점에서 크게 작게 허물어집니다. 상황이 어려울 때나 의심이 들 때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법을 배우려면 희망을 유지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대로 주저 않는다면 투지를 잃지만, 일너난다면 투지는 더 커진다.'


 지금까지 그릿 서평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서평을 작성하며 다시 읽어보았는데요. 관독과 재독은 정말 필수인 것 같습니다. 처음 읽었을 때보다 보이는 것도 많고 더욱 내 것으로 만들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부족한 솜씨이지만 이렇게 서평을 쓰고 있는 일 또한, 매우 뿌듯하네요. 저도 그릿 있게 꾸준히 독서하고 서평을 쓰며 실력을 쌓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평 : 엔절라 더크워스의 그릿 GRIT - 뜻은?

 

반응형